-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2025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플레이디] [손해보험] 시장 변화에 기회 삼아 미래를 준비하는 손해보험사들의 생존 경쟁 시작
- [2025년 5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5년 2분기 인터넷 노출형광고 결산보고
- [Case Study] Internet_쌤소나이트_하이시에라 런칭 캠페인/일동제약_비오비타 아기모델 선발 캠페인
- 2025년 8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거버넌스 전략으로서 공공브랜딩의 정책 효과에 관한 연구 - 정부 기관의 브랜드 성격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
한국광고홍보학회 |
29 pages|
2016.10.17|
파일형태 :

자료요약
이 연구는 정부 효과성과 공공 거버넌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 공공브랜딩의 활용가능성을 이론적, 실무적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 기관(식품의약품안전처)의 브랜드 성격을 측정하였고 기관의 브랜드 성격 요인별로 소속 공무원과 일반 시민의 심리적 이격 거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심리적 격차에 따른 거버넌스 효과(정책 신뢰도, 정책 순응도)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공공 거버넌스 환경에서 정부 기관의 공공브랜딩의 실효성과 한계점을 도출하였고, 정부 기관과 정책 소비자 간 커뮤니케이션 효과와 관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론적, 실무적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Given the upsurge of branding in government and public administration,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rand personality structure and relevant components by developing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measure the brand identity and image of a government agenc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article theorizes and empirically tests that specific components of the government agency’s brand personality varied from government officers of the agency to their targeted policy actors and stakeholders foster the differential impacts of policy in trust and policy compliance as an main outcome variable that has recently received much attention in research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relations. The article bridges public communication and brand management studies to the broader public governance literature, pointing out a gap in prior work and setting the stage for further research.
Given the upsurge of branding in government and public administration,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rand personality structure and relevant components by developing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measure the brand identity and image of a government agenc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article theorizes and empirically tests that specific components of the government agency’s brand personality varied from government officers of the agency to their targeted policy actors and stakeholders foster the differential impacts of policy in trust and policy compliance as an main outcome variable that has recently received much attention in research on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relations. The article bridges public communication and brand management studies to the broader public governance literature, pointing out a gap in prior work and setting the stage for further research.
목차
1. 연구의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가설
3. 연구방법
4. 분석 및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2. 이론적 배경
3. 연구가설
3. 연구방법
4. 분석 및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공공브랜딩
브랜드 성격
거버넌스 전략
공무원
정책소비자
정책 신뢰도
정책 순응도
Public branding
brand personality
governance strategy
government officers
policy consumers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