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vs. 가상 인플루언서의 CSR 활동 효과 비교: 메시지 유형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 한국경영학회 | 23 pages| 2025.07.09| 파일형태 :
조회 9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해석수준이론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의 CSR 활동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플루언서 유형(인간 인플루언서 vs. 인간형 가상 인플루언서 vs. 비인간 캐릭터형 가상 인플루언서)과 메시지 유형(바람직성 vs. 실행가능성)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설명하는 처리 유창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실행가능성을 강조한 메시지 조건에서는 인간 인플루언서와 인간형 가상 인플루언서가 비인간 캐릭터형 가상 인플루언서보다 더 높은 참여의도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간 인플루언서는 인간형 가상 인플루언서보다 소비자에게 더 호의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반면, 바람직성을 강조한 메시지 조건에서는 비인간 캐릭터형 가상 인플루언서가 인간형 가상 인플루언서보다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인 참여의도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인간 인플루언서와 비인간 캐릭터형 가상 인플루언서 간에는 참여의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인플루언서 유형과 메시지 유형의 상호작용이 소비자의 CSR 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처리 유창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비인간 캐릭터형 가상 인플루언서 조건에서만 메시지 유형이 처리 유창성에 유의미한 조절 효과를 보이며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실험
Ⅳ. 결론
참고문헌
#가상 인플루언서#사회적 거리#메시지 유형#처리 유창성#CSR 활동#Virtual Influencers#Social Distance#Message Type#Processing Fluency#CSR Activities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경영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