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세주의자들의 프리젠티즘 현상: 그 부작용과 처방책
경영학연구 | 한국경영학회 | 20 pages| 2025.07.09| 파일형태 :
조회 10 다운로드 0
자료요약
과도한 직장내 커리어리즘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는 가운데 이것은 사실상 조직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나 생존과도 직결된다. 본 연구는 자원보존이론의 관점에서 출세주의자들의 이러한 이기심은 업무소외와 프리젠티즘을 자초한다고 가정한다. 우리의 조절된 매개 모형은 업무소외의 매개를 통해 커리어리즘이 프리젠티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아울러 지각된 모티베이션 분위기(숙련지향 및 성과지향)는 프리젠티즘에 대한 업무소외의 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보여준다. 연구 결과들은 민간 및 공공 분야의 다양한 직업군에서 330명의 응답자가 작성한 설문지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다. 서울수도권에서 편의 샘플링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했다. 연구모형은 Hayes의 프로세스(process) 절차를 따라 분석되었다. 업무소외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두 모티베이션 분위기 중 숙련지향 분위기에서 업무소외를 통한 간접효과가 기대와 달리 반대 방향으로 조절되었는데, 숙련지향이 높게 지각될 때 그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종업원 프리젠티즘을 유발하는 변인의 규명을 통해 이러한 생산성 손실을 줄이기 위한 제언과 더불어 파괴 행동에 관한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관련 연구의 이론적 근거도 제공하고자 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개발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커리어리즘#업무소외#프리젠티즘#모티베이션 분위기#Careerism#Work Alienation#Presenteeism#Motivational Climates#Mastery climate#Performance climate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경영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