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 「화조화」를 응용한 메이크업과 의상디자인 연구
자료요약
나타나며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의 민화 중 화조화를 응용하여 현대적 감각의 의상과 메이크업으로 디자인하여 우리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새롭게 재인식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전개 되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범위와 방법에 대해 논하였고, 2장에서는 한국민화와 화조화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한국민화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화조화 작품 237점 중 크게 꽃을 주제로 한 124점과 새를 주제로 한 79점, 나비를 주제로 한 34점의 작품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전개 되었다. 한국민화의 정의와 특징, 한국민화의 주제와 소재에 의한 유형 분류, 화조화의 가장 중심적인 모티브인 곳과 새, 나비의 의미와 상징성에 대한 연구 후 화조화의 조형적 분석을 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한국복식의 조형적 복식형태와 조선시대 미인도를 통해 그 시대의 여인상과 화장문화를 조사하여 그 시대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을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화조화의 모티브인 꽃과 새, 나비의 조형미를 응용한 현대 의상과 메이크업, 그 외 디자인의 국내외 자료를 분석하였다. 현대에 보여지는 작품의 의도를 모두 파악할 수 없으므로 한국의 민화 중 화조화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디자인이나 작가들의 작품을 통하여 사례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화조화를 응용한 토탈 코디네이션(Total Coordination) 개념으로서의 의상 디자인 7점과 메이크업 4점을 연구하여 총 11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한국 민화
민화
화조화
메이크업
의상디자인
모티브
조선시대 조형적복식형태
조선시대 화장문화
메이크업
바디페인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