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품 개발에서 아이디어 창출기법인 유추와 체계적 발명사고가 창출된 아이디어의 질에 미치는 영향 비교
자료요약
본 연구는 S.I.A.M 모델에서 아이디어 생성과정에서 인간의 의지력에 의한 사고방법은 유추법과 S.I.T임을 확인한 후, 틀 밖에서 생각하기(thinking out of the box)의 대표적인 아이디어 창출법인 유추법과 틀 안에서 생각하기(thinking inside the box)의 대표적인 아이디어 창출법인 S.I.T 2가지의 아이디어 창출방법을 직접 비교,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틀’은 기존 사고의 틀(Framing)를 의미한다.
본 실험에는 제품 영역(가정용 책상)과 서비스 영역(커피전문점)에서 유추법과 S.I.T의 창출된 아이디어 질 수준을 직접 비교하였다. 실험 Ⅰ의 제품 영역(가정용 책상)과 서비스 영역(커피 전문점) 모두에서 유추법과 S.I.T를 각각 학습한 집단이 비학습집단(통제집단) 대비 창출된 아이디어의 질 수준에서 높았다. 실험 Ⅱ도 실험 Ⅰ과 마찬가지로, 제품 영역(가정용 책상)과 서비스 영역(커피 전문점) 모두에서 S.I.T를 학습한 집단이 유추법을 학습한 집단 대비 창출된 아이디어의 질 수준에서 높았다. S.I.T 학습집단의 결과물이 유추법 학습집단 대비 창출된 아이디어 질에서 더 높은 수준의 결과물이 나온 것은 실험과제가 기존 제품을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것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제품 범주가 정해져 있지 않는 신제품 개발 과제를 사용하여 비교할 필요성이 있다. 기존의 창의성 선행 연구들은 신제품 개발부서 실무자와 조직 수준에서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지 못하였고 이를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시도가 적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유추법과 S.I.T를 직접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이론적이고 실무적 측면 모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실험에는 제품 영역(가정용 책상)과 서비스 영역(커피전문점)에서 유추법과 S.I.T의 창출된 아이디어 질 수준을 직접 비교하였다. 실험 Ⅰ의 제품 영역(가정용 책상)과 서비스 영역(커피 전문점) 모두에서 유추법과 S.I.T를 각각 학습한 집단이 비학습집단(통제집단) 대비 창출된 아이디어의 질 수준에서 높았다. 실험 Ⅱ도 실험 Ⅰ과 마찬가지로, 제품 영역(가정용 책상)과 서비스 영역(커피 전문점) 모두에서 S.I.T를 학습한 집단이 유추법을 학습한 집단 대비 창출된 아이디어의 질 수준에서 높았다. S.I.T 학습집단의 결과물이 유추법 학습집단 대비 창출된 아이디어 질에서 더 높은 수준의 결과물이 나온 것은 실험과제가 기존 제품을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것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제품 범주가 정해져 있지 않는 신제품 개발 과제를 사용하여 비교할 필요성이 있다. 기존의 창의성 선행 연구들은 신제품 개발부서 실무자와 조직 수준에서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지 못하였고 이를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시도가 적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유추법과 S.I.T를 직접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이론적이고 실무적 측면 모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험Ⅰ - 유추법 학습집단과 S.I.T 학습 집단, 비학습집단 3가지 집단 간의 비교
Ⅳ. 실험 Ⅱ - 유추법 학습집단과 S.I.T 학습집단 비교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험Ⅰ - 유추법 학습집단과 S.I.T 학습 집단, 비학습집단 3가지 집단 간의 비교
Ⅳ. 실험 Ⅱ - 유추법 학습집단과 S.I.T 학습집단 비교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혁신#창의성#창의적 아이디어 창출#S.I.T#유추법#Innovation#Creativity#Creative Idea Generation#Systematic Inventive Thinking#Analogical reasoning